2021. 2. 5. 12:02ㆍ사자성어
자업자득
[ 自業自得 ]
한자 뜻과 음
自 : 스스로 자
業 : 업 업
自 : 스스로 자
得 : 얻을 득
풀이
자기가 저지른 일의 과보가 자기 자신에게 돌아감을 뜻하는 한자성어
유래
자기가 저지른 일의 과보(果報)가 자신에게 돌아감을 뜻하는 한자성어(漢字成語)이다.
이 사자성어(四子成語)의 유래는 이렇다. 중국의 한나라 무제는 훌륭한 임금으로서 찬란한 문화의 꽃을 피웠지만 노년기에 이르러 포악하고 난폭한 정치를 하였다. 이에 후경이 반란을 일으켜서 성을 포위했다. 86세의 노령이 된 황제로서는 아무런 힘도 써보지도 못하고 유배당하여 음식마저 공급받지 못하고 힘없이 죽음을 맞이하였다. 무제는 죽음을 목전에 두고 "자업자득(自業自得)이로군. 이제 새삼스럽게 무슨 할 말이 있단 말인가?" 라고 하였다.
자신이 저지른 과보(果報)나 업을 자신이 받는다는 뜻으로, 스스로 저지른 결과라는 뜻으로 많이 쓴다. 따라서 여기서 업은 나쁜 업을 일컫는다. 자업자박(自業自縛)과 같은 뜻으로, 자신이 쌓은 업으로 자신을 묶는다는 말이다.
자기가 꼰 새끼로 자신을 묶어, 결국 자기 꾐에 자기가 빠지는 것을 뜻하는 자승자박(自繩自縛)도 이와 비슷하다. 그밖에 과거 또는 전생의 선악의 인연에 따라 뒷날 길흉화복의 갚음을 받게 된다는 뜻의 인과응보(因果應報)에도 자업자득의 뜻이 들어 있다.
자업자득에는 무슨 일이든 결국 옳은 이치대로 돌아간다는 사필귀정(事必歸正)의 뜻이 담겨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업자득 [自業自得] (두산백과)
참고
자승자박(自繩自縛) 스스로 자, 일 업, 묶을 박
자신이 만든 줄로 제 몸을 스스로 묶는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말과 행동에 자신이 구속되어 어려움을 겪는 것을 이르는 한자성어.
인과응보(因果應報) 인할 인, 과보 과, 응할 응, 갚을 보
좋은 일에는 좋은 결과가, 나쁜 일에는 나쁜 결과가 따름.
사필귀정(事必歸正) 일 사,반드시필,돌아갈귀,바를정
무슨 일이든 반드시 옳은 이치대로 돌아간다.
입춘하면 떠오르는 사자성어 '건양다경' '입춘대길' '국태민안'
건양다경 [ 建陽多慶 ] 한자 뜻과 음 세울 건, 햇볕 양, 많을 다, 경사 경. 풀이 맑은 날 많고, 좋은 일과 경사스런 일이 많이 생기라고 기원하는 말. 유래 대한과 우수 사이, 24절기의 첫 번째인
ktr5621.tistory.com
주식시장을 보면서 생각나는 사자성어 '권토중래'
권토중래 [ 捲土重來 ] 직언 흙먼지를 일으키며 다시 돌아옴. 즉 실패하고 떠난 후 실력을 키워 다시 도전하는 모습. 유래 당(唐)나라 말기의 대표적 시인 두목(杜牧)의 칠언절구 《제오강정(題
ktr5621.tistory.com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밴드를 하면서 느낀점 '회자정리' ' 거자필반' (0) | 2021.02.06 |
---|---|
입춘하면 떠오르는 사자성어 '건양다경' '입춘대길' '국태민안' (0) | 2021.02.03 |
주식시장을 보면서 생각나는 사자성어 '권토중래' (0) | 2021.02.03 |
감언이설의 유래에 대해... (0) | 2021.02.02 |